스물 이후의 기록들
728x90

육아휴직 2

[직장인法상식] 여성근로자 해고‧징계 특별보호법

❌ 임신‧출산했다고 해고?안녕하세요? 법알못vs법잘알입니다. 오늘은 여성근로자의 해고‧징계에 대한 특별 보호제도를 알아볼게요.출산, 육아휴직 등은 ‘보호받아야 할 권리’이지,회사에서 불이익을 받아야 할 ‘불편한 사유’가 아닙니다.오늘은 여성근로자가 해고나 징계를 받지 않아야 할 법적 근거와 보호 장치를 소개합니다.✅ 관련 법조항 한눈에 보기📘 근로기준법 제23조, 제24조, 제74조📘 남녀고용평등과 일·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23조, 제37조📘 근로기준법 제110조(벌칙)1️⃣ 출산휴가·육아휴직 중 해고? 법적으로 금지!“사용자는 근로자가 출산휴가 또는 육아휴직을 이유로 해고하거나 불리한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.”(남녀고용평등법 제23조 제1항)✔️ 적용 대상임신 중인 여성출산 후 1년 ..

[직장인法상식] 직장인 육아지원제도 총정리!

👶‍‍ 직장인 육아지원제도 총정리!2025년 기준, 꼭 알아야 할 ‘근로자의 육아지원제도’ 총정리일과 가정의 균형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조건이 된 시대.하지만 여전히 출산과 육아는 개인의 부담으로 남아 있진 않나요?그래서 오늘은 법이 보장하는 육아지원제도를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.배우자 출산휴가부터 육아휴직, 복직보장, 육아기 단축근로까지!✅ 제도 1: 배우자 출산휴가 (출산간호휴가)📘 법적 근거: 남녀고용평등법 제18조의2, 제37조 제2항, 제39조 제2항✔ 요약남성 근로자가 배우자의 출산을 간호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법이 보장한 제도입니다.✔ 주요 내용휴가기간: 10일급여: 전일 유급신청기한: 출산일 전후 90일 이내위반 시:휴가 미부여 또는 무급처리 시: 500만 원 이하 과태료 (제39..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