👥 아직도 남녀 사이 젠더폭력이 고민이세요?
📌 젠더란 무엇인가요?
우리가 흔히 말하는 '성별'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습니다.
- 생물학적 성(sex): 남성과 여성이라는 신체적 차이
- 사회문화적 성(gender): 사회가 요구하거나 기대하는 남성성/여성성에 대한 인식
이 글에서 말하는 ‘젠더’는 바로 사회가 만든 성별 인식을 뜻합니다.
예를 들어, “남자는 강해야 한다”, “여자는 감정을 앞세운다” 같은 고정관념이 젠더차별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.
🚫 젠더차별, 왜 문제인가요?
젠더차별은 단순한 말이나 시선으로 끝나지 않습니다. 그 인식은 구조화되어, 결국 사회 전체에 젠더폭력이라는 결과를 낳습니다.
대표적인 젠더폭력의 유형과 처벌 법령 예시
- 성희롱
직장 내 성적 언행, 외모평가, 음담패설 등
→ (남녀고용평등법 제12조, 국가인권위원회법 제2조 제3호) - 성폭력
강간, 유사강간, 강제추행, 카메라촬영 등
→ (성폭력처벌법 전반: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) - 가정폭력
배우자, 가족 간의 신체‧정신적 폭력
→ (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) - 데이트폭력
교제관계에서의 신체‧정신적 폭력
→ (형법 일반규정 + 스토킹처벌법 + 가정폭력특례법 적용 가능) - 성매매
금전 등을 대가로 한 성적 행위의 거래
→ (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) - 사이버 성범죄
디지털 성착취, 불법촬영물 유포 등
→ (정보통신망법 제44조의7, 성폭력처벌법 제14조, 아동·청소년 성보호법 등)
👉 이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, 사회적 권력구조와 인식의 문제입니다.
🔧 무엇을 바꿔야 할까요?
‘남녀평등’을 실현하기 위한 첫 전략은 인식의 전환과 철폐입니다.
다음과 같은 잘못된 사회문화적 인식을 바꿔야 합니다.
- “남성은 리더, 여성은 조력자”라는 가부장적 인식
- “여자는 감정적, 남자는 이성적”이라는 이분법적 사고
- “힘이 곧 권력이다”는 폭력 중심의 서열문화
- “여성은 보호받아야 한다”는 성적 대상화 시선
이러한 ‘인식’이 사라질 때, 진정한 평등이 시작됩니다.
🧭 직장 내 실천 포인트 3가지!
- 회의에서 발언 기회를 평등하게 분배하세요.
- 성희롱 예방 교육을 ‘실제로’ 이수하고 실천하세요.
- 육아휴직, 유연근무제 등 제도를 성별 관계없이 활용하세요.
📣 한마디로 정리하자면!
“평등은 제도가 아니라 인식에서 시작된다.”
젠더평등은 우리가 서로를 어떻게 바라보고 존중하는가에서 출발합니다.
우리의 언어와 태도, 행동 하나하나가 더 나은 평등 사회로 향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.
728x90
'법알못vs법잘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직장인法상식] 선을 넘는 사장님 길들이기! (4) | 2025.07.06 |
---|---|
[직장인法상식] 주 4.5일 근무제 준비되셨나요? (0) | 2025.07.04 |
[직장인法상식] 직장 내 남녀평등 기본원리 (10) | 2025.07.02 |
[직장인法상식] 직장인이 꼭 알아야 할 남녀평등법 (6) | 2025.07.01 |
[직장인法상식] 여성근로자 해고‧징계 특별보호법 (4) | 2025.06.27 |